SSL 인증서 신청시에는 '자체 소유 도메인' 이 있어야 하며, DCV 도메인 권한 인증 확인시 EMAIL 또는 DNS 인증이 가능해야 합니다. 참고로 AWS 제공 하위 도메인은 인증서 발급이 불가하므로, 자체 보유 도메인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xxx.amazonaws.com 서브 도메인 이용 불가)
CN : example.com
대표성을 가진 FQDN 도메인 1개만 입력 합니다.
SAN : 인증서에 포함될 나머지 FQDN 도메인은, 신청서 작성중 DCV 설정 단계에서 추가 입력합니다.
CN : example.com
대표 루트 도메인 1개을 CN으로 입력 합니다.
SAN : *.example.com
형식의 와일드카드 도메인은, 신청서 작성중 DCV 설정 단계에서 추가 입력합니다.
- 발급 완료 후에는, 메일첨부 또는 주문상세의 압축파일(zip)에 인증서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서버 적용에 필요한 파일 정보는, zip 파일내 '발급내역서 및 루트/체인' PDF 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필수)
- 이후 과정 부터는, 서버에 SSL 인증서 설치/적용/확인 절차 입니다. (인터넷에 공개된 설정법과 차이 없음)
Private Key
: domain_xxxxx.key.pem 파일 전체 내용(PEM)Certificate Body (Public Key)
: domain_xxxxx.crt.pem 파일 전체 내용(PEM)Certificate Chain
: ca-chain-bundle.pem 파일 전체 내용(PEM)
나머지 관련 절차는 AWS 고객센터 문의 또는 AWS 자체 이용/설정 가이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VM 이용시, VM 인스턴스 내부 웹서버 자체 적용은 별도)
(위 입력 화면 구성은, AWS 에 의해서 언제든지 변경이 될수 있음)
- SSL 설정 적용 후, 서비스를 재시작하여 정상 구동이 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 서버 데몬 시작시 SSL 설정 관련 오류,경고가 있는지 콘솔/데몬/이벤트 로그 확인이 필요합니다.
- 서버 로컬에서 설정한 HTTPS 포트가 활성화 되어 있는지 netstat 등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외부에서 HTTPS 포트 접속이 되지 않는 다면 보안설정(방화벽등) 허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 L4 분산 환경은, HTTPS 패킷을 수신하는 모든 노드 웹서버에 SSL 적용이 필요합니다.
- L7 라우팅 환경은, L7 에도 HTTPS 활성 및 SSL 인증서 설정이 필요합니다. (장비별 자체 매뉴얼 참조)
- SSL 발급 도메인 웹페이지에 https:// 링크 적용을 별도 진행해야 최종적으로 SSL 암호화가 적용됩니다. (개발자,웹디자이너)
- PC 및 스마트폰의 "Chrome / Firefox / IE / Edge" 각 웹브라우져에서 "루트,체인,SSL,TLS" 경고가 발생 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